마크다운 주요 문법
이 글은 블로그 포스트 작성 시 주로 사용할 수 있는 마크다운의 주요 문법들을 남긴 포스팅 입니다. 블로그를 운영하며 필요했거나 사용한 마크다운 문법이 있다면 이곳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 입니다. 마크다운은 HTML을 사용하여 더 복잡한 레이아웃이나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이 포스트는 HTML 이나 Jekyll 에서 사용되는 Front Matter 관련 표현도 함께 작성 하였습니다. ( 해당 문서는 Typora 편집기로 작성 하였습니다. )
Redis 의 클러스터 구성
상용환경에서 Redis 를 운영하게 된다면 당연히 standalone mode 로 운영할 수 없습니다. Redis 는 Cluster 또는 Sentinel 이란 mode 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고가용성을 보장합니다. 아래 포스팅은 Redis Cluster mode 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내용을 남겨놓았습니다. 참고로 구글링하면 많은 분들이 Redis Cluster 와 Redis Sentinel 의 비교 글은 매우 많으니 꼭 비교 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.
Redis 의 설정 파일 redis.conf 주요 옵션 소개
redis.conf 는 Redis 서버의 동작 방식을 구성하는 설정 파일입니다. 이 파일은 Redis 서버가 시작될 때 읽혀져 다양한 설정 옵션을 통해 Redis의 동작을 제어합니다. 아래 포스팅을 통해 제가 사용한 redis.conf 파일의 주요 옵션을 소개하고자 합니다.
폐쇄망 Redhat 에서 Redis 설치
이 글은 Redhat OS 환경 상에서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고 Redis 를 설치하는 과정을 남긴 포스팅 입니다.
폐쇄망 Redhat 에서 Nginx 설치
이 글은 Redhat OS 환경 상에서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고 Nginx 를 설치하는 과정을 남긴 포스팅 입니다.
MAC M3 에서 Ruby & Jekyll 설치
이 글은 저의 개인 Mac M3 환경 상에서 ruby 를 설치하는 과정을 남긴 포스팅 입니다.